Programming/github

[Github] 1일차 study - 로컬저장소, 커밋실습

낭강 2021. 2. 10. 04:23
로컬저장소 만들기

바탕화면 - GitStudy - 7days 폴더 생성

README.TEXT 생성

오른쪽 버튼 눌려서 Git Bash 클릭

$ git init 입력 ( Git 초기화 과정 )

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출력되면 성공!

git 파일의 정보 - 생성한 버전들의 정보, 원격저장소 주소 등이 들어있다. 이러한 폴더를 로컬저장소라고 부른다.
커밋만들기

버전 관리를 위해 내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첫 번째 커밋을 만드는 과정입니다.

README.txt에 내용을 추가하고 다시 커밋하는 과정입니다.

 

첫번째 커밋으로 돌아가는 방법 즉 이전 개발버전으로 돌아가는 행위

git log 명령어를 이용해 지금까지 커밋을 확인해봅니다.

두 개의 커밋 상황을 볼 수 있네요.

첫번째 커밋 commit 뒤에 있는 숫자와 알파벳으로 이루어진게 커밋 아이디라고 합니다. 이것을 복사하고

git checkout 아이디를 입력 후 마지막 라인에 head~ 텍스트가 보이면 성공적으로 첫 번째 커밋으로 돌아간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 readme 텍스트 확인 )

두번째 커밋으로 돌아가기 위한 작업

git checkout - 최신 커밋을 의미한다.

즉 checkout 명령어를 사용해서 원하는 커밋 시점으로 파일을 되돌릴 수 있다.